2025 숙박세일페스타, 20일부터 시작! 가을·겨울 국내여행 최대 5만 원 할인 혜택
정부가 가을과 겨울 국내 여행 수요를 높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대규모 숙박 할인 행사를 다시 연다. 오는 8월 20일부터 시작되는 이번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는 최대 80만 장의 숙박 할인권이 발급되며, 특히 특별재난지역 숙박 시 최대 5만 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어 관심이 쏠린다. 여기에 산불·호우 피해 지역과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 등 재난 피해를 입은 지역을 중심으로 추가 할인 혜택도 제공된다. 숙박을 계획하는 여행객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행사다.
가을·겨울 두 차례 진행, 숙박 할인권 80만 장 배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25년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를 ‘가을편·특별재난지역편’과 ‘겨울편’으로 나눠 진행한다. 전체 할인권은 약 236억 원 규모로, 이 중 50만 장은 제2차 추가경정예산 147억 원으로 편성되었다. 이를 통해 비수도권 숙박시설 이용 시 2만~3만 원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특별재난지역은 할인 폭을 3만~5만 원으로 확대했다.
‘가을편·특별재난지역편’은 2025년 8월 20일부터 10월 30일까지, ‘겨울편’은 11월 3일부터 12월 7일까지 진행된다. 1인당 각 기간별 1매씩, 최대 2회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기존 행사 참여 이력이 있는 사람도 재참여가 가능하다. 단, 가을편과 특별재난지역편은 중복 발급이 불가능하다.
비수도권 최대 3만 원, 특별재난지역 최대 5만 원 할인
이번 숙박세일페스타의 핵심 혜택은 지역과 숙박 금액에 따른 차등 할인이다. 우선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숙박시설에서 7만 원 이상 숙박상품을 예약하면 3만 원, 7만 원 미만일 경우 2만 원이 할인된다. 대상 시설은 호텔, 콘도, 리조트, 펜션 등 국내 등록 숙박업소이며, 대실 상품이나 미등록 시설은 제외된다.
특히 특별재난지역의 경우 혜택이 대폭 강화된다. 산불 피해지역인 산청·하동·안동·영덕·영양·의성·청송·울주,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지역인 전남과 광주광역시, 그리고 최근 호우 피해로 지정된 경기,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광주, 세종 등 총 33개 시·군·구가 여기에 해당한다. 해당 지역에서는 7만 원 이상 숙박 시 5만 원, 7만 원 미만일 경우 3만 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할인권 발급·사용 방법과 유의사항
숙박 할인권은 8월 20일 오전 10시부터 참여 온라인 여행사(OTA) 채널을 통해 선착순 발급된다. 발급 기준은 1인 1매이며, 발급 후에는 매일 오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7시까지 유효시간 내에 예약·결제를 완료해야 한다. 유효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거나 예약을 취소할 경우 해당 할인권은 자동 소멸한다. 단, 미사용자는 다음 날 오전 10시부터 재발급이 가능하다.
이번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공식 누리집 또는 콜센터(1670-3980)를 통해 세부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온라인 예약 시에는 반드시 행사 참여 숙박업소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결제 전 할인권 적용이 되었는지 재차 점검해야 불필요한 혼선을 줄일 수 있다.
재난 피해지역 회복과 내수 활성화를 위한 특별한 여행 기회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는 단순한 할인 행사를 넘어, 재난 피해를 입은 지역의 회복과 관광 활성화를 돕는 의미가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유튜브 채널 ‘한국관광공사TV’를 통해 MZ세대에게도 친숙한 콘텐츠를 제작, 숙박 할인권 행사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높이고 있다. 인기 크리에이터 ‘충주맨’과의 협업 영상, 시청 인증 이벤트, 응원 메시지 참여자 경품 증정 등 다양한 홍보 활동도 병행된다.
김근호 문체부 관광산업정책관은 “이번 숙박세일페스타가 여행비 부담을 줄이고, 재난 피해지역의 조속한 회복과 지역 경제 재도약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많은 국민의 참여를 당부했다. 국내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이 기회를 통해 가을과 겨울의 정취를 한껏 느끼며 의미 있는 소비를 실천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가을 단풍이 물드는 시기와 겨울의 설경 속에서, 할인 혜택까지 더해진 여행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지역과 함께하는 상생의 발걸음이 될 수 있다. 숙박세일페스타를 통해 소중한 추억을 만들고, 동시에 우리 지역 사회의 회복을 응원해보자.